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천박사 퇴마연구소: 설경의 비밀 줄거리, 주연 강동원 감독 김성식 대표작품 및 영화 감상평

by RichNFree 2023. 10. 3.
반응형

천박사 퇴마 연구소 포스터

1. 영화 천박사 퇴마 연구소  줄거리

천박사(강동원)은 사람들의 크고 작은 고민거리를 해결해주는 퇴마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강도령(이동휘)는 그를 도와주는 조수역할을 하면서 영화에 감초같은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천박사는 진짜 퇴마사는 아니고 퇴마사인 척을 하면서 돈을 버는데, 쉽게 말하면 사기꾼 같은 느낌이 드는 사람입니다.  당주집 장손으로 태어났지만 할아버지의 신통한 능력을 이어받지는 못한 것으로 보이나, 결말에 이르면 굉장히 비범한 능력을 보여줍니다. 의뢰인 유경(이솜)이 찾아오면서 진짜 귀신을 상대하게 되는데, 이 일로 천박사는 완전히 새로운 현실과 마주하게 됩니다. 할아버지와 부적인 설경의 비밀을 알게 되고 진짜 귀신과 맞붙게 되는 것입니다.

 

2. 주연 배우 강동원, 감독 김성식 대표작품

배우 강동원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다 아는 꽃미남 배우입니다. 대표작으로 <전우치>,<검은사제들>,<검사외전> 등이 있습니다.  <전우치>는 2009년 개봉하여 606만명이라는 관객을 동원한 흥행영화이며 아직까지도 강동원 하면 <전우치>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강동원은 이번에 같이 작업한 배우들과 호흡이 굉장히 잘 맞았고 처음으로 감독을 맡은 김성식 감독과의 작업도 흥미로웠다고 합니다.

김성식 감독은 <헤어질 결심>,<다만 악에서 구하소서>,<기생충> 등 작품성 있는 영화의 조연출을 맡은 실력파입니다. <기생충>이라면 아마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봉준호 감독이 이 영화로 제72회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기 때문입니다. <헤어질 결심>은 제가 굉장히 인상깊게 본 영화입니다. 2022년에 개봉해서 190만명의 관객을 동원했으며, 제75회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작입니다. 역시 박찬욱 감독이라는 생각이 들게 할 정도로 아름다운 미장센을 보여주었습니다. 

강동원,  김성식 이 두 사람이 처음으로 만난 작품이 바로 <천박사 퇴마 연구소>라니 기대가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3. 영화 감상평

강동원의 새로운 영화 <천박사 퇴마 연구소>는 추석연휴를 겨냥한 오락영화입니다. 가볍게 친구, 연인, 가족들과 함께 보기 좋은 영화입니다. 처음에는 천박사의 사기꾼같은 모습을 중점적으로 보여주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진지한 퇴마사로서의 성장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초반 이동휘와의 티키타카 유머를 후반부에서는 잘 볼 수 없어서 아쉬웠고, 결말을 짓기 위해서 애쓰는 모습이 조금 진부하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배우들간의 조화가 좋았고 책임감있게 영화를 이끌어가는 강동원의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의 영화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습니다.  또한 특별출연한 박정민의 코믹하지만  극중 긴장감을 높이는 연기도 인상깊었습니다. <밀수>에서의 사투리를 비슷하게 구사하면서 문제 해결의 단서를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잘 소화하여 출연시간은 짧지만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쿠기영상에서 후속편을 암시하기도 했는데 과연 다시 천박사를 볼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현재 흥행스코어를 보면 추석연휴 엿새 동안 136만여명의 관객을 모아 1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제작비 113억원이 투입되어 극장 관객수 기준으로 손익분기점이 대략 240만명입니다. 요즘같이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티빙 등 OTT  컨텐츠가 인기있는 상황에서 극장 개봉 영화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떨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집에 편하게 앉아서 시청할 수 있는 영화가 많은 상황에서 <천박사 퇴마 연구소>의 경쟁력은 과연 무엇일까요? 아마 강동원이라는 티켓파워, 그리고 추석연휴라는 빅 이벤트입니다. 10월 7일부터 10월 9일 한글날까지의 연휴도 있기 때문에 아직 기회는 남아있다고 보입니다. 아무 생각없이 스트레스를 날려 버리고 싶은 분, 그동안 강동원을 좋아했던 팬, 약간의 장르적인 긴장감을 느껴보고 싶은 분은 주저 없이 이 영화를 선택하면 좋겠습니다. 친구들과 한 손에는 팝콘, 한손에는 탄산음료를 들고 먹으면서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입니다. 

반응형